1. 오픈스택 Glance란?
오픈스택(OpenStack)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중 Glance는 가상 머신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미지 서비스(Image Service)로서, 오픈스택에서 가상 머신 인스턴스를 배포할 때 필요한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Glance는 다양한 이미지 포맷(QCOW2, RAW, VMDK 등)을 지원하며, 로컬 파일 시스템, NFS, Ceph RADOS, Swift 같은 여러 백엔드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오픈스택 환경에서 Glance를 구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2. Glance의 주요 기능
- 이미지 관리: Glance를 사용하면 가상 머신 이미지를 업로드, 다운로드, 삭제, 공유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스토리지 백엔드 지원: 로컬 파일 시스템뿐만 아니라 Swift, Ceph 등의 외부 스토리지를 백엔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 메타데이터 관리: 사용자 정의 메타데이터를 추가하여 이미지 검색과 관리가 용이합니다.
- 이미지 공유 기능: 여러 프로젝트에서 동일한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3. Glance 설치 및 구성
3.1 Glance 패키지 설치
Glance는 오픈스택의 이미지 관리 서비스로,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glance
또는 RHEL 계열의 경우:
sudo yum install openstack-glance
3.2 Glance 설정 파일 수정
설치가 완료되면, /etc/glance/glance-api.conf
파일을 수정하여 Glance가 오픈스택 환경과 원활하게 통합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3.2.1 데이터베이스 설정
Glance는 MySQL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므로,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설정해야 합니다.
[database]
connection = mysql+pymysql://glance:password@controller/glance
3.2.2 Keystone 인증 설정
오픈스택의 인증 서비스인 Keystone과 통합하기 위해 다음 설정을 추가합니다.
[keystone_authtoken]
auth_uri = http://controller:5000
auth_url = http://controller:5000
memcached_servers = controller:11211
auth_type = password
project_domain_name = Default
user_domain_name = Default
project_name = service
username = glance
password = password
3.3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Glance 서비스가 데이터베이스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합니다.
sudo glance-manage db_sync
3.4 Glance 서비스 시작 및 활성화
Glance API 서비스를 시작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합니다.
sudo systemctl enable glance-api
sudo systemctl start glance-api
서비스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glance-api
4. Glance 이미지 업로드 및 관리
4.1 Glance를 이용한 이미지 업로드
Glance에 이미지를 업로드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glance image-create --name "Ubuntu 20.04" \
--file ubuntu-20.04.qcow2 \
--disk-format qcow2 --container-format bare \
--visibility public
4.2 등록된 이미지 확인
등록된 이미지 목록을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glance image-list
4.3 이미지 다운로드
Glance에 저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glance image-download --file downloaded_image.qcow2 <image_id>
5. Glance 고급 설정
5.1 Ceph를 Glance 백엔드로 사용하기
Glance는 기본적으로 로컬 파일 시스템을 저장소로 사용하지만, 대규모 환경에서는 Ceph 같은 분산 스토리지를 백엔드로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Ceph 클러스터 설정 후,
/etc/glance/glance-api.conf
파일을 수정하여 Ceph을 백엔드로 지정합니다.
[glance_store]
default_store = rbd
stores = file, http, rbd
rbd_store_pool = images
rbd_store_user = glance
rbd_store_ceph_conf = /etc/ceph/ceph.conf
- Glance 서비스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glance-api
5.2 Swift를 Glance 백엔드로 사용하기
Swift를 Glance의 스토리지로 사용하려면 /etc/glance/glance-api.conf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glance_store]
default_store = swift
stores = file, http, swift
swift_store_auth_address = http://controller:5000/v3
swift_store_user = service:glance
swift_store_key = password
설정 후 Glance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glance-api
6. 결론
이번 가이드에서는 오픈스택 Glance의 개념과 기능을 설명하고, 기본적인 설치 및 설정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또한, 이미지 업로드 및 관리 방법과 고급 스토리지 백엔드 구성을 살펴보았습니다.
Glance는 오픈스택 클라우드에서 필수적인 서비스로, 올바르게 설정하면 효율적인 가상 머신 이미지 관리가 가능합니다. 대규모 환경에서는 Ceph이나 Swift 같은 분산 스토리지를 활용하는 것이 성능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더욱 강력한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해 보세요!
'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픈스택 방화벽 및 보안 그룹 설정하기 (0) | 2025.04.02 |
---|---|
# 오픈스택 Horizon 구성하기 (0) | 2025.04.01 |
# 오픈스택 Keystone 구성하기 (0) | 2025.04.01 |
# 오픈스택 Swift 구성하기 (0) | 2025.04.01 |
# 오픈스택 Cinder 구성하기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