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픈스택(OpenStack) 개요
오픈스택(OpenStack)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가상화하여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를 제공하며, 대규모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적합합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오픈스택을 설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2. 오픈스택 설치 전 준비 사항
2.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 CPU: 최소 4코어 이상
- RAM: 최소 8GB (테스트 환경), 16GB 이상 권장
- 디스크 공간: 최소 50GB 이상의 SSD
- 네트워크: 1Gbps 이상의 네트워크 카드
- 운영체제: Ubuntu 20.04 LTS 또는 CentOS 8
2.2 네트워크 구성
오픈스택을 원활히 운영하려면 네트워크 구성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컨트롤 노드(Control Node), 컴퓨트 노드(Compute Node),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로 구성됩니다.
- 컨트롤 노드: API,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큐를 관리
- 컴퓨트 노드: 가상 머신(VM) 실행
- 네트워크 노드: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기능 제공
3. 오픈스택 설치 방법
3.1 DevStack을 이용한 간편 설치
테스트 및 개발 환경에서는 DevStack을 이용하면 빠르게 오픈스택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sudo apt install -y git
cd /opt
git clone https://opendev.org/openstack/devstack.git
cd devstack
cp samples/local.conf .
./stack.sh
설치 완료 후, Horizon 대시보드에 접속하여 UI 환경에서 오픈스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3.2 패키지를 이용한 수동 설치
운영 환경에서는 수동으로 오픈스택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Ubuntu 환경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3.2.1 오픈스택 패키지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software-properties-common
sudo add-apt-repository cloud-archive:wallaby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3.2.2 데이터베이스 설정
sudo apt install -y mariadb-server python3-pymysql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3.2.3 메시지 큐 설치
sudo apt install -y rabbitmq-server
sudo rabbitmqctl add_user openstack password
sudo rabbitmqctl set_permissions openstack ".*" ".*" ".*"
3.2.4 Keystone(인증 서비스) 설치
sudo apt install -y keystone
설치 후 /etc/keystone/keystone.conf
파일을 수정하여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추가해야 합니다.
3.2.5 Glance(이미지 서비스) 설치
sudo apt install -y glance
설치 후 /etc/glance/glance-api.conf
파일을 수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마이그레이션합니다.
3.2.6 Nova(컴퓨팅 서비스) 설치
sudo apt install -y nova-api nova-conductor nova-novncproxy nova-scheduler
3.2.7 Neutron(네트워크 서비스) 설치
sudo apt install -y neutron-server neutron-plugin-ml2 neutron-linuxbridge-agent neutron-dhcp-agent neutron-metadata-agent
각 서비스 설치 후 설정 파일을 수정하고 서비스 재시작을 진행해야 합니다.
4. 오픈스택 서비스 설정 및 실행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통해 오픈스택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nova-api nova-conductor nova-scheduler
sudo systemctl restart neutron-server neutron-linuxbridge-agent
sudo systemctl restart glance-api
sudo systemctl restart keystone
이제 오픈스택 CLI 또는 Horizon 대시보드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5. Horizon을 이용한 대시보드 접속
Horizon은 오픈스택의 웹 기반 대시보드로, 설치 후 브라우저에서 http://your-server-ip/dashboard
로 접속하면 로그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5.1 기본 계정 정보
- ID: admin
- 비밀번호: 설치 과정에서 설정한 비밀번호
6. 마무리 및 추가 설정
설치 후 다음 작업을 진행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방화벽(Firewall) 및 보안 그룹(Security Group) 설정
- 백업 및 복구 정책 수립
- 리소스 모니터링 도구(Zabbix, Prometheus 등) 설치
7. 결론
이 가이드를 통해 오픈스택을 성공적으로 설치하고 운영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DevStack을 이용한 간단한 설치 방법부터 수동 설치 과정까지 설명하였으며, 서비스 설정과 최적화 팁까지 제공하였습니다. 오픈스택을 활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해보세요!
'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픈스택 Nova 구성하기: 완벽 가이드 (0) | 2025.04.01 |
---|---|
# 오픈스택 인스턴스: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가상 머신 관리 (0) | 2025.04.01 |
# 오픈스택 주요 구성 요소 (0) | 2025.04.01 |
# 오픈스택 자격증: 클라우드 전문가를 위한 완벽 가이드 (0) | 2025.04.01 |
# 오픈스택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술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