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NAS 스토리지 연결하기: 완벽 가이드 (NFS / SMB 방법 포함)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장치와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스토리지 서버입니다. 특히 리눅스(Linux) 환경에서는 NAS를 활용한 백업, 미디어 서버, 파일 공유 등이 매우 효율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NAS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방법(NFS, SMB)을 단계별로 소개하고, 설정 팁과 자주 묻는 질문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NAS란? 왜 필요한가요?
NAS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파일 기반 저장 장치입니다. 별도의 서버 없이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NAS에 접근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을 수 있습니다.
🔹 NAS의 장점
- 중앙 집중식 파일 관리
- RAID를 통한 데이터 안전성
- 다양한 접근 프로토콜(NFS, SMB, FTP 등) 지원
- 리눅스, Windows, macOS 등 다양한 OS 호환
NAS는 가정용 백업에서 기업의 파일 서버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 리눅스에서 NAS 연결을 위한 준비사항
- NAS가 NFS 또는 SMB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있어야 함
- NAS와 리눅스 시스템이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함
- NAS의 공유 폴더 정보(IP, 경로 등) 필요
- 리눅스에 NFS/SMB 관련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함
🔗 NAS 연결 방법 1: NFS 방식
NFS(Network File System)는 유닉스/리눅스 환경에서 자주 사용하는 NAS 연결 방식입니다.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 1. NFS 클라이언트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nfs-common
🔹 2. NAS 공유 폴더 마운트
sudo mkdir -p /mnt/nas_nfs
sudo mount -t nfs [NAS_IP]:/공유폴더경로 /mnt/nas_nfs
예시:
sudo mount -t nfs 192.168.1.100:/volume1/share /mnt/nas_nfs
🔹 3.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
/etc/fstab
파일에 아래와 같이 추가:
192.168.1.100:/volume1/share /mnt/nas_nfs nfs defaults 0 0
🧩 NAS 연결 방법 2: SMB(CIFS) 방식
SMB(Server Message Block)는 Windows 공유 방식이지만 리눅스에서도 cifs-utils
패키지를 통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 1. CIFS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cifs-utils
🔹 2.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
sudo mkdir -p /mnt/nas_smb
🔹 3. NAS 공유 폴더 마운트
sudo mount -t cifs //NAS_IP/공유폴더 /mnt/nas_smb -o username=사용자,password=비밀번호,iocharset=utf8
예시:
sudo mount -t cifs //192.168.1.100/share /mnt/nas_smb -o username=admin,password=mypassword,iocharset=utf8
🔹 4. /etc/fstab
에 자동 마운트 등록
# /etc/fstab 내용
//192.168.1.100/share /mnt/nas_smb cifs username=admin,password=mypassword,iocharset=utf8 0 0
보안상의 이유로, credentials
파일을 따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sudo nano /etc/samba/credentials
username=admin
password=mypassword
권한 설정:
sudo chmod 600 /etc/samba/credentials
fstab 설정:
/etc/samba/credentials /mnt/nas_smb cifs credentials=/etc/samba/credentials,iocharset=utf8 0 0
🚨 NAS 연결 시 주의사항
- 공유 폴더 접근 권한을 NAS 설정에서 확인
- 마운트 오류 시 로그 확인 (
dmesg
,journalctl
,/var/log/syslog
) - NAS 펌웨어 및 리눅스 커널 버전 호환성 고려
🧰 실전 팁: NAS 연결 유지 및 자동 재마운트
- autofs 사용: 자동 마운트를 유연하게 처리
- systemd mount units: 부팅 시 안정적인 마운트 구성
- ping 또는 cron 스크립트로 NAS 접속 상태 확인 및 재마운트
🧪 리눅스 NAS 사용 예시
용도 | 설명 |
---|---|
백업 서버 | rsync , cron 등을 통해 주기적 백업 |
미디어 서버 | NAS에 있는 파일을 Plex , Jellyfin 등으로 스트리밍 |
공유 저장소 | 팀원들과 NAS를 통해 자료 공유 |
Docker 볼륨 연결 | NAS를 마운트한 디렉토리를 Docker 볼륨으로 사용 |
📁 NAS 성능 향상을 위한 팁
- 기가비트 LAN 이상 환경 구성
- NAS에 SSD 캐시 적용
- NFS 대신 SMB 또는 반대로 프로토콜 전환 테스트
mount
시 옵션 조정 (nolock
,rsize=8192
,vers=3.0
등)nmap
,ping
,iperf
등을 통한 네트워크 진단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NFS와 SMB 중 어느 것이 더 좋나요?
- 리눅스 환경에서는 NFS가 더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 다양한 OS 접속이 필요하다면 SMB가 더 호환성이 좋습니다.
Q2. NAS가 자동으로 마운트되지 않아요. 어떻게 하나요?
/etc/fstab
구성 확인- NAS가 부팅 전 접근 불가한 경우
nofail
,x-systemd.automount
옵션 추가 필요
예시:
192.168.1.100:/volume1/share /mnt/nas_nfs nfs defaults,nofail,x-systemd.automount 0 0
Q3. NAS에 연결된 드라이브에 쓰기가 안 됩니다.
- NAS의 공유 권한 또는 리눅스에서의
mount
옵션 (rw
)을 확인하세요.
Q4. NAS를 부팅 후 자동 마운트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fstab
,autofs
,systemd
방식 중 선택- NAS가 켜져 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함
Q5. NAS와 리눅스 간 파일 전송이 느려요. 원인과 해결 방법은?
- 무선 네트워크 대신 유선 LAN 사용
- 스위치 허브 점검
- NAS와 리눅스 시스템 양쪽의 네트워크 속도 측정 (
iperf
)
✅ 마무리: 리눅스 NAS 연결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리눅스에서 NAS를 연결하는 것은 단 몇 줄의 명령어로 충분합니다. 환경에 따라 NFS 또는 SMB 방식 중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면 되며, /etc/fstab
또는 autofs
를 통해 부팅 시 자동 연결도 가능합니다.
NAS는 단순한 저장장치를 넘어서 백업, 협업, 미디어 스트리밍까지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장치입니다. 지금 리눅스 환경에서 NAS를 마운트해보고, 당신만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만들어보세요! 🚀
키워드 요약:
리눅스 NAS 연결, 리눅스 NFS 마운트, 리눅스 SMB 마운트, NAS 자동 마운트, Ubuntu NAS 설정, NAS 공유 폴더, Linux CIFS 연결, NAS 백업, Plex NAS, Synology 리눅스 연결
'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눅스 GPFS 스토리지 연결하기 (0) | 2025.04.04 |
---|---|
# 리눅스 SAN 스토리지 연결하기: 완벽 가이드 (0) | 2025.04.04 |
# AWS 인스턴스 완벽 가이드: 종류, 요금, 활용법 총정리 (0) | 2025.04.04 |
# AWS 주요 구성 요소: 클라우드 인프라의 핵심 이해 (1) | 2025.04.04 |
# AWS 설치하기: 완벽 가이드 (초보자도 가능한 AWS 시작법) (0) | 2025.04.04 |